스페인어
español, castellano(IPA: [espaˈɲol], [kasteˈʎano])사용 국가 | 스페인, 멕시코, 아르헨티나, 칠레, 베네수엘라, 콜롬비아 등 |
---|
사용 지역 | 남유럽(이베리아 반도), 라틴아메리카, 적도 기니, 필리핀 |
---|
언어 인구 | 제1언어: 약 4억 5200만여 명 제2언어: 약 6700만여 명 총합: 약 5억 1900만여 명 |
---|
문자 | 로마자 |
---|
언어 계통 | 인도유럽어족 이탈리아어파 로망스어군 서부 로망스어군 갈리아이베리아어 이베리아로망스어 서이베리아어 스페인어 |
---|
공용어 및 표준 |
---|
공용어로 쓰는 나라 | 멕시코, 아르헨티나, 스페인, 콜롬비아, 베네수엘라, 에콰도르, 칠레, 페루, 과테말라, 쿠바, 도미니카 공화국, 볼리비아, 온두라스, 엘살바도르, 니카라과, 파라과이, 코스타리카, 파나마, 우루과이, 적도 기니, 푸에르토리코 ( 미국령)
이베로 아메리카 정상회의
유럽 연합
유엔 라틴 연합 |
---|
표준 | (스페인 한림원) |
---|
언어 부호 |
---|
ISO 639-1 | es |
---|
ISO 639-2 | spa |
---|
ISO 639-3 | spa |
---|
 |
스페인어(Idioma español 이디오마 에스파뇰[*]) 또는 카스티야어(Idioma castellano 이디오마 카스테야노[*])는 이베리아로망스어군에 속하는 로망스어의 하나이다. 스페인 북부 지역에서 기원하여 카스티야 왕국에서 점차 퍼졌으며, 이후 이베리아 반도에서 통치와 상업의 제 1언어로 발전했다. 15 ~ 19세기 스페인 제국의 확장과 함께 아메리카 대륙에 특히 널리 퍼졌으며, 아프리카 및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도 상당한 영향을 주었다. 스페인어는 현재 포르투갈, 브라질을 제외한 라틴아메리카, 미국, 적도 기니, 필리핀, 서사하라 등의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다.
스페인어는 오늘날 전 세계에서 약 4억 5200만 명의 인구가 모국어로 사용하고 있으며, 이는 중국어 다음으로 많은 숫자이자 로망스어군에 속하는 언어 중 가장 많은 숫자이다.[1][2] 스페인어 사용 인구가 가장 많은 나라는 멕시코이다. 스페인어는 국제 연합의 여섯 개 공식 언어 중 하나이기도 하다. 문자는 라틴 문자를 사용한다. 또한 스페인어는 전 세계의 모든 언어 중 가장 빠른 속도로 확산하고 있다.